개요
파상풍 Clostridium tetani가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질환이다. 파상풍에 이환되면 골격근의 경직과 더불어 근육수축이 발생하고 사망률이 매우 높다. 1884년 Carle과 Rottone왁 파상풍 환자의 농을 동물에 주입하여 파상풍을 유발시키는데 성공하였다. 1889년 Kitasato가 최초로 파상풍 환자로부터 균을 분리해 냈고, 파상풍 독소를 특수 항체를 통해 중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 1897년 Nocard은 수동면역으로 파상풍을 예방할 수 있음을 알아냈고, 이어 1924년 현재 사용되는 파상풍 톡소이드가 개발되어 2차 세계대전 기간동안 그 효과가 입증되었다.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
C. tetani는 길이 2~2.5 ㎛, 폭 0.3~0.5 ㎛인 혐기성 그람양성 간균으로 균체 끝 부분에 아포를 형성해 북채(drum-stick) 모양으로 보인다(그림 7-1). 균체는 열에 약하고 산소가 있는 상태에서는 사멸하지만, 아포(spore)는 열이나 일반적인 소독제에도 매우 강하다. 이러한 아포는 토양을 비롯해 소, 말, 개, 고양이, 설치류 등의 동물 뿐 아니라 사람의 장관에도 상존하고 있다.
발병기전
C. tetani는 tetanolysin과 tetanospasmin이라는 두 종류의 외독소를 생성해 질환을 유발한다. Tetanospasmin은 신경독소로서, 파상풍의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시킨다. 균이 상처를 통해 인체에 유입되면 혐기상태에서 독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독소는 혈류와 림프관을 통해 다양한 신경조직에 작용한다.
임상양상
질병의 전파는 오염된 상처를 통해 이루어진다. 크기가 작은 상처에서 질병이 유발될 비중이 높은데 이는 큰 상처들은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는 반면, 작은 상처는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오염된 상처 이외도 수술, 화상, 중이염, 치주 감염, 동물의 교상, 유산이나 임신 후에도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잠복기는 1일에서 수개월까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3~21일 이내에 증상이 발생한다. 잠복기와 상처부위는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중추신경계에서 먼 부위에 포자가 접종된 경우 잠복기는 길어지지만, 두경부와 체부에 상처가 발생하면 잠복기는 짧아진다. 또한 상처가 심할수록 잠복기가 짧아진다.
파상풍은 임상증상에 따라 3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국소형(local tetanus)은 상처 인접부의 근육경련으로 통증을 동반하며 수주에서 수개월까지도 지속된다. 그러나 인체감염 시 독소는 혈류를 타고 전신으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이러한 국소 경련은 매우 드물다.
두부형(cephalic tetanus)도 매우 드물며 주로 안면신경과 안와에 국한된 증상을 보인다. 잠복기는 1~2일로 짧고, 만성중이염, 두피 손상과의 연관성이 있다. 3, 4, 7, 9, 10, 12번 뇌신경의 마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전신형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80% 이상의 파상풍 환자가 전신형(generalized tetanus)으로 나타난다. 증상의 진행은 상부에서 하부로 진행한다. 최초 증상으로 저작근 수축으로 인한 아관긴급(trismus, lockjaw)이 약 50% 이상의 환자에서 발생한다. 안면근육 수축에 의해 생기는 아관긴급은 특징적인 표정(경련미소, risus sardonicus) (그림 7-2)을 유발한다.
이후 경부, 체부 및 사지 근육을 침범하고, 전신에 과반사(hyperreflexia) 현상이 일어난다. 특히 배부근육의 지속적인 수축으로 인해 활모양 강직(후궁반장, opisthotonus)(그림 7-3)이 발생한다. 이러한 전신경련은 외부소음과 같은 작은 자극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후두부의 경련은 기도협착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한다. 경련 중 약 2~4℃가량 체온 상승이 있을 수 있고, 경련에 의한 인지기능의 영향은 없다.
노인이나 약물남용자에 파상풍이 발생한 경우 고혈압이나 저혈압, 안면홍조, 빈맥, 부정맥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련에 의해 골절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독소는 배뇨장애나 연하장애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장기적으로는 폐색전, 욕창, 폐렴 등이 합병될 수 있고, 근육피로, 골관절염, 구음장애, 기억력 저하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
전신경련의 임상경과는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1~4주간 증상이 심하게 지속되다가 이후로 점차 호전되는 양상을 취한다. 사망률은 25~70%로 다양하지만 신생아나 노인에서는 거의 100%를 보인다. 제대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신생아 파상풍(neonatal tetanus)은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파상풍에 대한 면역이 없는 모체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모체에서 받은 면역이 없기 때문에 쉽게 파상풍에 이환된다. 생후 3~14일 후부터 증상이 발현되고, 신생아가 젖을 잘 빨지 못하거나, 심하게 우는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 이후 다양한 정도의 아관긴급, 후궁반장 등의 경련 증상이 발생한다.
*** 질병관리본부 자료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제4판 수정판, 2013년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